일각선 의사 보조 취급에 업무 과중 등 곱잖은 눈

[CWN 최준규 기자] 전공의 이탈로 의료 현장 공백이 생기자 정부가 진료 지원 인력을 활용하는 시범사업을 추진하려 했지만 간호사들은 반발하고 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27일부터 진료 지원 인력 시범사업을 시작한다고 이날 밝혔다.
전공의는 수술 처치 보조, 수술 전후 환자 상태 확인 등을 하고 전공의 외에도 이런 역할을 하는 경우도 있는데 'PA간호사'로 알려진 진료 지원 인력이다. PA간호사가 일부병원에서는 절개, 봉합 등 의료행위를 한다.
이처럼 정부의 시범사업 시행 발표 이후 지침 배포와 실제 시행까지 촉박하게 이뤄지는 이유는 전공의 이탈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본격적으로 전공의 이탈이 시작된 지 일주일이 지나며 피해 사례도 속출하고 있는데 전날에는 대전 지역에서 심정지 환자가 진료 받을 병원을 찾지 못해 사망한 사건도 발생했다.
지난 19일부터 복지부가 운영한 의사 집단행동 피해신고·지원센터에 접수된 피해 상담 사례는 현재까지 총 227건이다.
현재 전국에 약 1만 명의 PA 간호사가 현장에서 근무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정부는 이 인력을 활용하면 당장에 전공의 이탈에 따른 공백은 메울 수 있다는 계산이다.
시범사업인 만큼 한시적으로 시행했다가 사라지면 그만이어서 불법 논란에 시달릴 수 있다는 건 여전하다는 의견도 있다. 전공의 이탈에 따른 업무까지 추가되면서 격무에 노출된다는 불만도 나온다.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