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스타트업 누리집에서 내달 19일까지 접수

[CWN 손태한 기자] 중기부가 보조 중심의 창업지원 방식에서 새로운 지원 방식을 도입한다.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는 창업지원사업 패러다임 전환의 출발점이 될 2024년도 창업도약패키지 사업에 참여할 창업기업을 27일부터 모집한다고 밝혔다.
이번 모집에서 총 270여 개 도약기 창업기업을 선발해 제품 개발 및 제작, 판로개척 등에 필요한 사업화 자금은 물론 투자유치, 글로벌 진출 등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신청‧접수는 K-스타트업 누리집에서 내달 19일까지 접수하며 신청접수 이후에는 평가를 통해 지원 대상을 최종 선정하고 사업화 자금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현행 보조 중심의 지원 방식은 한정된 예산으로 창업기업이 필요로 하는 사업화 자금을 충분히 지원받기 어려웠다.
이에 기업당 지원금을 확대하면서도 혁신성장의 동기를 부여할 수 있도록 투자, 융자 등 회수 기능을 결합한 융복합 지원 방식을 도입하게 됐다.
융복합 지원 방식은 3가지 유형으로 나뉘며, 사업화 성공 시 환원하는 ‘성공환원형’, 보조와 투자를 결합한 ‘투자병행형’, 보조와 융자를 결합한 ‘융자병행형’으로 구성된다.
먼저 ‘성공환원형’은 사업화 성공 시 지원금의 일부를 환원하기로 약속한 기업에 대해 현행보다 50%를 추가 지원하는 방식이다.
기업당 지원금은 현행 최대 3억원에서 4억5000만원, 평균 1억3000만원에서 약 2억원으로 확대된다.
사업화 성공 시 추가지원금의 최대 50%를 5년에 걸쳐 회수한다.
또 ‘투자병행형’은 보조와 투자를 묶어서 지원하는 방식으로 평가를 통해 보조 지원 대상으로 선정된 기업에 대해 보조금의 1배수로 매칭 투자하는 방식이다. 기업당 지원금은 최대 4억원, 평균 2억6000만원이다.
벤처투자회사 등 전문투자기관의 투자이력이 없어야 하며 조건부지분인수계약 방식이 적용된다.
마지막으로 ‘융자병행형’은 보조와 융자를 묶어서 동시에 지원하는 방식으로 현장 심사는 1회로 간소화했다.
기업당 지원금은 최대 7억원(보조 2억원, 융자 5억원), 평균 3억3000만원(보조 1억3000만원, 융자 2억원)이다. 다만 융자는 5년 약정(2년 거치 3년 상환)으로 원리금을 상환해야 한다.
중기부 임정욱 창업벤처혁신실장은 “융복합 지원 방식은 ‘스타트업 코리아 종합대책’의 일환으로 추진하는 것으로 창업기업은 다양한 지원방식 중 하나를 선택해 필요한 사업화 자금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다”며 “향후 만족도, 성과 등을 고려해 확대 여부를 검토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CWN 손태한 기자
sonth@cwn.kr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