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WN 최준규 기자] 한국은행의 금리 인하 시점이 언제쯤이 될지 관심을 끌고 있다.
올해 한국 성장률 전망치를 2.1%로 내놓았는데 고금리와 고물가에 위축된 소비 심리를 끌어 올리기 위해선 금리 인하가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에 전문가들은 미국보다 먼저 금리를 낮추기 어렵다며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금리 인하 후인 오는 3분기가 첫 금리 인하 시점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23일 금융시장에 따르면 이번에 한은 금통위가 기준금리 동결을 결정한 연 3.5%를 상반기까지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이창용 총재는 "6명 중 5명은 3개월 후에도 3.5% 유지가 적절하다고 봤고 한명은 3.5%보다 낮은 수준 인하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고 말해 위원별로 세부 의견은 엇갈린 것으로 밝혀졌다.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종전과 같은 2.1%인데 수출 개선에도 소비 위축 우려가 높아졌다는 점이 문제다.
금통위원의 금리 인하 가능성 언급에도 시장에서는 올해 상반기까지 기준금리 금리 동결을 이어가다가 미국이 인하하고 난 후인 하반기께 낮출 것이란 의견이 지배적이다.
고물가에 연준의 금리 인하 예상 시점이 하반기로 늦춰지고 있기 때문이다. 사실상 미국보다 금리를 낮추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연세대 경제학과 김정식 교수는 "미국의 6월 인하 전망이 나오는 만큼 한국은 6월 이후에나 인하 여력이 나타날 것"이라며 "8~9월 이후에나 인하가 이뤄질 가능성이 있고 만약 금융 부실이 위험해지면 금리 인하가 단축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CWN 최준규 기자
38junkyu@cwn.kr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