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WN 최한결 기자] 현대차그룹이 지난해 인도 현지에서 108만대 이상을 생산하며 역대 최다 연간 생산량을 달성했다. 양사 합산 생산량이 2022년(104만8597대)에 이어 2년 연속 100만대를 넘기면서 인도가 현대차그룹의 글로벌 최대 생산기지로 자리매김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미국·중국에 이어 세계 자동차 시장 3위로 올라선 인도는 핵심 신흥시장이자 현대차그룹의 글로벌 최대 생산기지로 주목받고 있다.
22일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와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인도 현지에서 현대차는 76만5000대, 기아는 31만9878대를 생산했다. 두 회사 합산 생산량은 108만4878대다. 양사는 2021년부터 3년 연속 연간 최대 생산량을 경신했고, 2년 연속 연간 생산량 100만대를 넘기는 등 인도 시장에서 눈에 띄는 성과를 내고 있다. 이는 연간 생산량으로 봤을 때 현대차그룹이 인도에서 기록한 최대치다.
인도는 인구 14억명 대비 자동차 보급률이 10% 미만으로, 성장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국가로 꼽힌다. 현대차가 인도에 막대한 돈을 투자해 글로벌 최대 생산기지 중 한 곳으로 키워온 이유다. 현대차는 1998년 인도 첫 생산기지를 준공한 뒤 2008년 제2공장까지 가동하며 현지 생산량을 늘려왔다.
현대차는 1998년 인도 첫 생산기지를 준공한 뒤 2008년 제2공장까지 가동하며 현지에서 내수 판매량은 물론 수출 물량을 늘려 왔다. 현재 소형 SUV(스포츠유틸리티차량)인 크레타와 베뉴를 주력 삼아 10여개 차종을 만들고 있다.
인도 2개 공장에서는 매년 60만∼70만대가 생산되고 있다. 아울러 2개 공장 가동률도 지난해 기준으로 100%에 이른다.
현재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인 크레타와 베뉴를 주력 삼아 10여 개 차종을 만들고 있다. 여기에 작년 상반기 설비 투자 이후 생산능력은 85만 대 수준까지 늘어났다.
현대차는 또 작년 제너럴모터스(GM)로부터 인수한 13만대 생산 규모의 탈레가온 공장을 내년부터 인도 3공장으로 가동하겠다는 계획이다. 이 계획이 현실화하면 현대차는 연간 100만대 생산이 가능할 전망이다.
기아는 2019년부터 인도 공장 가동을 시작해 2022년에 이어 2년 연속 연간 생산량 30만대를 돌파했다. 현재 소형 SUV인 쏘넷과 셀토스, 미니밴 카렌스·카니발 등을 생산한다.
현대차그룹은 인도 시장 공략을 위해 현지 투자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지난해 5월 인도 생산법인(HMI)이 있는 타밀나두주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전기차 생산 시설에 2032년까지 2000억 루피(약 3조2000억 원)를 투자하기로 했다.
현대차·기아의 인도 판매량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 양사는 지난해 인도 진출 이후 지난 25년 동안 판매한 누적 차량 대수는 900만대를 넘어섰다. 현대차·기아는 인도 시장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현지 생산·판매량을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CWN 최한결 기자
hanbest0615@cwn.kr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