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수출 호조로 업황 전망은 그나마 '개선'

[CWN 최준규 기자] 기업체감경기가 각종 악재에 41개월 만에 곤두박질쳤다.
이는 가전·자동차 등 내수 부진에 전자부품 수요 감소와 국제유가 하락으로 석유정제 산업 수익성이 떨어지자 제조업 업황이 악화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이와함께 비제조업 체감 경기는 해운업 업황 개선과 태영건설 등 PF(프로젝트 파이낸싱) 사태로 자금조달금리 상승이 엇갈려 전월과 동일하다.
그러나 반도체 수출 회복세에 전자·영상·통신장비 중심 제조업 업황 전망이 나아졌고 운수업과 도소매업 중심 비제조업 전망도 기지개를 켰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2월 전 산업 업황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68로 전월(69)보다 1p 하락했고 지난 2020년 9월 이후 41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고 21일 밝혔다.
전 산업 실적BSI는 작년 10월부터 12월까지 3개월 연속 70을 기록했다가 1월과 2월 각각 1p씩 낮아졌지만 3월 업황전망BSI는 2월(69)보다 3p 오른 72다.
체감경기는 부문별로 엇갈렸다. 제조업 업황실적BSI는 전월 대비 1p 떨어진 70으로 전자·영상·통신장비(-7p), 의료·정밀기기(-13p), 석유정제·코크스(-7p) 등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대기업(-2p), 중소기업(-1p), 내수기업(-3p)은 하락했지만 수출기업(+2p)은 올랐다.
또한 비제조업 업황실적BSI는 전월과 같은 67로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임대서비스업(+5p), 운수창고업(+2p) 등은 상승했지만 건설업(-7ㅔ) 등이 하락했다.
한은 경제통계국 황희진 통계조사팀장은 "전방산업의 내수 부진에 전자제품 수요가 줄었고 석유정제 산업은 월초 국제유가 하락으로 수익성이 악화됐다"며 "반도체를 중심으로 수출이 개선세를 보이며 업황 전망은 개선됐다"고 말했다.
CWN 최준규 기자
38junkyu@cwn.kr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