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약 일주일 전, 미 백악관 관계자가 미국과 싱가포르의 인공지능(AI) 연구 상호 협력 강화 논의 소식을 공식 발표했다. 이에, 글로벌 온라인 매체 프로토콜이 미국과 싱가포르의 AI 연구 상호 협력 관계가 중국의 기술력 견제를 염두에 두었다는 견해를 보도했다.
리셴룽 싱가포르 총리가 백악관을 방문했을 당시 조 바이든 대통령은 미국과 싱가포르의 전략적 상호 협력 관계 확장 소식과 함께 미국 기업 5,400곳이 AI 발전을 위해 싱가포르에 자리 잡을 것이라고 발표했다.
리셴룽 총리와 바이든 대통령이 만날 때, 미국 상무부 대표단은 싱가포르 관료를 만나 신뢰할 수 있는 AI와 데이터 프라이버시, 디지털 기술 표준, 첨단 제조 기술 등과 관련된 경제적 노력 확장을 논의했다. 이와 관련된 노력은 지난해 10월, 한 차례 시행된 바 있다.
양국의 협력 관계는 싱가포르를 비롯해 상대적으로 작지만, 기술 발전 수준이 뛰어난 아시아 국가와의 균형 유지 및 관계 재형성을 위해 추진되었다.
싱가포르 국립대학교 경영대학원 교수직을 지낸 경험이 있는 테크 혁신 연구원 및 컨설턴트 알렉스 카프리(Alex Capri)는 미국과 싱가포르의 AI 협력 확장 계획은 광범위한 영역에서 볼 때, 미국의 중국 견제 일환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미국이 싱가포르와의 협력 범위 확장에 나선 것은 AI 기술 발전 측면에서 중국 의존도를 줄이려는 의도임이 분명하다. 싱가포르를 AI 발전을 위한 기술 중심지로 선택한 것은 논리적으로 매우 타당한 일이다”라고 설명했다.
지난 몇 년간 서양 정부는 중국이 급속도로 기업 AI 및 각종 신흥 기술 개발에 나서는 상황을 우려했다. 안면 인식 기술을 동원한 소수 민족 인권 탄압과 알고리즘 기반 사회 신용도 점수 평가, AI 기반 군사 무기 장악 등과 같은 기술 악용 사례가 계속 관측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양국은 국경을 넘어선 연결의 상호운용성을 수월하게 만들 윤리적 AI 관리 접근방식 개발 계획을 이번 협력 확장의 핵심 요소 중 하나로 채택했다. 조세핀 테오(Josephine Teo) 싱가포르 정보통신 장관은 “기업의 국경을 초월한 AI 구축과 함께 혁신 기회 확보 및 위험 관리가 훨씬 더 수월해질 것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미국은 중국의 기술 발전 견제를 위해 싱가포르와의 AI 기술 상호 협력 확장을 넘어서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출범을 주도했다. 미국 국무부는 지난달 한국을 포함한 10개 국에 IPEF 참여를 요청했으며, 미국과 한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싱가포르 등 6개국의 참여로 시작될 것이 유력하다. IPEF 출범과 함께 회원국 간의 무역 촉진과 디지털 경제 및 기술 표준, 공급망 회복, 탈탄소화 및 청정에너지 등 6개 분야의 협정 설립이 추진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