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일과 검색, 클라우드(가상 서버), 동영상으로 전 세계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구글이 1일부터 본격적인 서비스 유료화에 나섰다.
유튜브 광고 확대해 '프리미엄' 가입 유도
구글은 최근 유튜브 이용자들에게 약관 변경 안내문을 보내 “6월부터 구독자가 1명인 계정의 동영상에도 광고를 넣는다”라고 공지했다. 기존에는 최근 1년간 총 시청 시간이 4,000시간 이상, 구독자 1,000명 이상인 채널의 영상에만 광고가 붙었지만, 이제 조건과 관계없이 모든 영상에 광고가 들어가게 된다.
또한 기존에는 유튜버와 구글이 광고 수익을 일정 비율로 배분하여 가졌다면, 앞으로는 조건(시청 시간 4,000시간·구독자 1,000명 이상)을 충족하지 않는 영상의 광고 수익은 전부 구글의 몫이 된다.
새로운 정책에 따라 구글의 광고 수익과 광고 없이 유튜브를 즐길 수 있는 유료 구독 서비스 ‘유튜브 프리미엄’의 가입자 수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클라우드 서비스 일부 유료화
구글의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구글 포토’도 유료 서비스로 일부 전환됐다. 누구나 용량 제한 없이 사진과 영상을 저장할 수 있었던 이전과 달리 이제 용량 15GB(기가바이트)까지만 무료로 구글 포토에 저장할 수 있다. 그 이상의 용량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유료 구독 서비스에 가입해야 한다.
업계는 이를 사실상 전면적인 유료화에 나선 것이라고 분석했다. 외신 CNN비즈니스는 “평생 무료라고 믿고 있었던 사용자들이 배신감을 느끼는 것은 합당하다”고 전했다.
인앱 결제 시스템 의무 도입에도 박차 가해
구글은 인앱 결제 시스템 의무 도입을 위한 사전 작업에도 착수했다. 인앱 결제는 애플리케이션의 자체 시스템이 아닌 구글플레이의 시스템을 이용해 결제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사용자가 앱 개발사의 자체 결제 시스템을 이용할 때 수수료가 발생하지 않지만, 인앱 결제로 결제할 경우 앱 개발사는 결제액의 30%를 구글에 수수료로 내야 한다.
구글은 오는 10월부터 구글플레이에서 제공되는 모든 앱에 인앱 결제 도입을 의무화할 예정이다. 인앱 결제에 대한 앱 개발사의 반발이 심해지자 구글은 구글플레이 연 매출이 100만 달러(약 11억 원) 미만인 앱에 한해 1일부터 한 달간 수수료를 결제액의 30%에서 15%로 인하하기로 했다. 대다수 중소 개발사에 인하 혜택이 적용되므로 업계는 이를 의무 도입을 앞두고 최대한 많은 앱 개발사가 인앱 결제 시스템을 수용하도록 하기 위한 구글의 전략으로 분석하고 있다.
구글의 파격 유료화 행보, 대체 왜?
시장조사업체 이마케터에 따르면, 전 세계 검색 광고 시장에서 구글의 점유율은 지난해 28.9%로 2019년도 점유율(31.6%)보다 감소했다. 반면, 같은 기간 페이스북·아마존 등 주요 경쟁사의 점유율은 2~3%씩 증가했다. 따라서 구글의 서비스 유료화는 주수입원인 검색 광고 수익의 감소에 대비해 안정적인 수익 모델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구글은 이러한 행보가 수익 확대라는 하나의 목적에서만 나온 건 아니라는 입장이다. 구글 관계자는 구글 포토 유료화에 대해 "수요의 급증으로 클라우드 공간을 무제한 공급하기 어렵게 되어서", 유튜브 정책에 대해서는 "새로운 광고 솔루션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의 일환이자, 광고주들이 잠재고객과의 비즈니스 성장을 도모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약관을 변경한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