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주자들 틱톡 금지법 두고 갑론을박 진행중
![]() |
▲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이 숏폼 컨텐츠로 많은 인기를 끌게 되면서 숏폼의 시대를 연 가운데 미국 의회가 틱톡을 금지하는 법안을 속전속결로 처리하고 있어 이와 관련한 다양한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사진은 Tiktok 아이콘 이미지. 사진=PIXABAY |
[CWN 손태한 기자] 숏품 컨텐츠로 세간의 관심을 받았던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이 미 대선의 변수로 떠올랐다.
11일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미국 하원 에너지상무위원회는 지난 7일 바이트댄스가 틱톡을 165일 안에 매각하도록 하는 법안을 발의 이틀 만에 처리했다. 미 하원은 오는 13일(현지 시각) ‘틱톡 금지법’을 전체 표결에 부쳐 법안 처리에 나설 예정이다.
미국 대선에서 틱톡이 이처럼 중요한 요소로 떠오른 것은 개인정보의 중국 유출 가능성 때문이다. 미 연방정부와 정보기관들은 중국 정부가 틱톡을 통해 미국 시민들의 개인정보를 무분별하게 수집할 가능성을 우려해왔다. 현재까지 틱톡이 개인정보를 유출했다는 직접적인 증거는 없지만, 미국 내에서 많은 이용자들이 틱톡을 이용하고 있어 이에 대한 보안문제를 지적하고 있는 상황이다.
민감한 개인정보 유출 문제인 만큼 대선 주자들 사이에서 갑론을박이 일었다. 먼저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8일 워싱턴DC 인근 앤드루스 합동기지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틱톡 금지 법안이 의회를 통과하면 서명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 역시 같은 날 트루스소셜에 "틱톡을 없앤다면 페이스북과 '얼간이 저커'의 사업이 두 배로 성장할 것"이라며 "난 지난 선거에서 사기 친 페이스북이 더 잘되기를 원하지 않는다"는 글을 올리며 틱톡 금지법에 반대하는 뜻을 비췄다.
틱톡은 미국에서만 1억7000만명이 사용하는 인기 매체다. 워싱턴포스트에 따르면 틱톡 사용자들은 법안이 처리된 의원실에는 지난 7일 법안 표결을 막아달라는 전화가 끊임없이 이어졌고 일부 의원실에는 수백통의 전화가 몰려 업무에 차질을 빚은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언론들은 매각이 쉽지 않다고 판단했다. 이는 중국 당국의 승인을 받아야하기 때문인데 틱톡의 ‘강제 매각’을 중국이 승인할 가능성이 크지 않다고 중국 언론들은 내다봤다.
한편 틱톡 인수설 또한 제기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수 가격은 수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CWN 손태한 기자
sonth@cwn.kr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