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지원시스템 등 다국어 지원...외국인 고객 챙기기 활발
![]() |
▲ 사진=픽사베이 |
한화생명의 판매자회사(GA)한화생명금융서비스 신도림지점의FP(보험설계사) 김모 씨는 설 명절을 맞아 중국 출생 고객에게 중국어로 적힌 모바일 연하장을 보냈다. 김 씨는 "모국어로 연하장을 받은 고객들의 반응이 매우 좋아 고객 소통에 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화생명이 설 명절을 앞두고 중국어, 베트남어, 러시아어로 된 다국어 연하장을 선보이는 등 외국인 고객 챙기기에 분주하다.
인구구조 변화로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과 귀화자를 비롯해 다양한 지역적·문화적 배경을 지닌 고객이 늘면서, 외국인 고객과의 소통을 확대하기 위한 취지다.
다국어 연하장은 설 연휴 전에 외국인 및 귀화 고객 모국어로 제작돼 발송될 예정이다.
한화생명은 다국어 연하장에 앞서 고객 안내장과 영업지원시스템 등에 다국어 서비스를 지원하며 고객 접근성을 강화하고 있다. 지난해 6월 중국어를 시작으로 현재 베트남어, 러시아어까지 지원 언어를 늘렸다.
외국인을 비롯한 타국가 출생 고객은 복잡한 보험 가입 내용을 익숙한 언어로 이해할 수 있고, FP(보험설계사)는 고객에게 보다 손쉬운 설명을 할 수 있다.
특히 올해는 영업지원시스템에 다국어 변경 기능을 도입해 FP의 영업 편의성을 높일 계획이다.
다국어 안내장에는 보험금 접수 방법, 계약자 변경 방법, 보험계약 대출, 보험자산분석, 건강체 할인 방법, 증권 재발행 방법, 보험료 납입 방법 등 고객에게 꼭 필요한 사항이 기재돼 있다.
한화생명은 외국인 고객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한화생명의 지난해 12월 기준 외국인 계약자 수는 7만여명에 달한다. 이는 1년 전인 2023년 12월 5만9000여명보다 약 19%, 5년전인 2019년 12월 4만1000여명보다 약 69% 증가한 수준이다. 이에 한화생명에 소속된 외국인 FP는 약 1600명에 달한다.
외국인 고객 인구가 많은 지역에는 외국인 중심의 영업점을 운영하고 있다.
한화생명의 판매자회사(GA) 한화생명금융서비스 강일지점(경기도 하남시)은 소속 설계사 66명 중 60명이 베트남 출신이다. 보험 계약 건의 95%도 외국인이다.
신도림지점(서울 구로구)은 소속 설계사 102명중 95명이 중국 출생으로, 비중이 93%에 달한다. 신도림지점을 포함한 한화생명금융서비스 영등포광명지역단의 총 FP는 579명인데, 이 가운데 409명(70.6%)이 중국 출생이다.
한화생명 관계자는 "외국인 보험 가입자들의 충분한 정보 습득과 접근성 향상을 위해 다국어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라며 "다국어 안내장 지원 확대를 비롯해 외국인 고객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도입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
▲사진=한화생명 |
한편, 지난 2023년 기준 한국의 외국인 인구는 246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4.8%에 달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외국인 비중이 전체 인구 5%를 넘으면 다인종·다문화 국가로 규정한다.
또, 보험개발원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장기체류 외국인은 약 191만3000명이다. 이들의 민영보험 가입률은 41.1%로, 내국인 가입률 86.4%에 비해 낮은 편이다. 보험연구원의 조사 결과, 2014년에서 2020년 사이 국내체류 외국인 보험가입 건수의 연평균 증가율은 17.8%에 달한다. 내국인 연평균 가입건수 증가율 2.6%에 비해 월등히 높은 증가율이다. 국내 인구/산업의 외국인 비중과 영향력은 계속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CWN 배태호 기자
bth@cwn.kr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