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옴시티 프로젝트 선점 발판 마련…원팀 참여한지 1년만에 결실

[CWN 최준규 기자] 네이버가 중동에 IT 신화 바람을 예고하고 있어 큰 관심을 끌고 있다.
네이버는 사우디아라비아 5개 도시에 약 1억 달러(약 1350억원) 이상 규모의 디지털 트윈 플랫폼 구축을 도맡아서 하게 된다.
디지털 트윈 플랫폼은 실제같은 3차원 가상 데이터 모델을 만드는 것으로스마트 시티 구현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인프라다.
네이버는 24일 사우디아라비이 주택부와 이같은 프로젝트를 수주했다고 밝혔다.
이는 네이버의 대규모 중동 사업으로는 첫 사례로 '디지털플랫폼정부' 수출 1호 타이틀도 따냈다. 이에따라 앞으로 650조원 규모 가량의 사우디 네옴시티 프로젝트 선점에 유리하게 됐다.
네이버 이번 계약에 따라 사우디아라비아 수도 리야드와 메디나, 제다, 담맘, 메카 등 5개 도시에 빠르면 내년부터 5년간 클라우드 기반의 3D 디지털 모델링 디지털 트윈 플랫폼을 구축·운영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건물 내부 공간에서 부터 도시 전체까지 데이터화해 정밀한 공간 정보를 구축하며 사우디아라비아는 이 플랫폼을 도시 계획과 모니터링, 홍수 예측 등에 활용하게 된다. 또한 네이버가 운영 과정에도 뛰어든다.
이는 한국 대표 IT기업이 사우디아라비아의 공공 디지털 서비스를 첫 단계부터 구축하고 서비스까지 직접 운영하게 돼 큰 의미가 있다.
이같은 성과물은 10cm 내외 오차 범위로 도시 전부를 세밀하게 구현·복제할 수 있는 원천 기술부터 매핑 로봇, 데이터 처리 인프라까지 자체 개발한 것이 먹힌 것이다.
이와함께 대형 실내 공간 매핑 기술과 10년간 3無(무중단·무사고·무재해) 노하우 등 안정적 클라우드 역량도 큰 역할을 했다.
특히 네이버는 이번 수주가 다양한 첨단 기술을 중동 지역에 수출할 교두보로 잔뜩 기대하고 있다. 또한 대규모 AI 및 클라우드로 사우디아라비아 자치행정주택부의 정책 현안을 해결하는 방안도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