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혁신 금융을 지원하기 위한 금융규제 샌드박스가 도입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상품이 등장하고 있다. 그중 대표적인 것은 지난 기사에서 다루었던 '증권형 토큰'이다. 이번에는 최초로 제도권 내에 도입된 증권형 토큰인 부동산 디지털유동화증권(Digital Asset-backed Securities, DABS)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최근 유동성 공급정책이 주택시장의 과열에 불을 지피는 등 국민들의 주택을 향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주택은 삶의 터전인 동시에 주택 가격 상승 시 차익을 얻을 수 있는 투자자산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단기간에 유동성을 공급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이러한 주택시장의 낮은 유동성이라는 한계를 극복하고 다양한 형태의 투자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로 DABS이다. DABS는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상업용 부동산을 디지털 증권을 통해 유동화한 것으로, 작년 12월 국내에서 처음 발행되었다. 실물자산에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해 디지털 자산으로 발행하기 때문에 증권형 토큰의 한 종류에 속한다.
여기서 블록체인 기술이 핵심 역할을 하게 된다. 블록체인이 가지는 가장 큰 장점인 보안성과 디지털 거래를 통한 빠른 거래 속도를 실현한다. 또한 전부 투자하는 방식이 아닌 부분 투자가 가능한 형식이기에 소액으로 투자하고 싶은 투자자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다.
우리나라는 이제 막 도입되기 시작한 단계이지만, 해외에서는 이미 DABS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블록체인이 나의 삶의 터전과 만나는 시대, 그 무궁무진한 가능성이 기대된다.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