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측, '미래기금' 2억엔 추가 출연
![]() |
▲윤석열 대통령이 2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한일 정상회담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
[CWN 주진 기자] 윤석열 대통령은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에서 라인야후 사태를 언급하며 "불필요한 현안이 되지 않도록 잘 관리해달라"고 당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기시다 총리는 "양 정부간에 잘 소통해나가자"고 했다
윤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는 이날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약 50분에 걸친 한일정상회담을 했다. 올해 들어 처음 열린 한일정상회담으로, 기시다 총리 방한은 지난해 5월 이후 1년 만이다.
라인야후 사태는 정상회담 의제가 아니었으나 윤 대통령이 먼저 언급했다고 한다.
윤 대통령은 "행정지도가 국내 기업인 네이버의 지분을 매각하라는 요구는 아닌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며 "우리 정부는 이 현안을 한일 외교관계와 별개의 사안으로 인식을 하고 있고, 따라서 앞으로 양국 간에 불필요한 현안이 되지 않도록 잘 관리해 나갈 필요가 있겠다"고 당부했다.
이에 기시다 총리는 "총무성의 행정 지도는 한국기업을 포함해서 외국기업들의 일본에 대한 투자를 계속 촉진하겠다는 기존의 입장에 불변이 없다는 원칙 하에서 이해되고 있다"고 답했다.
이어 "총무성 행정지도는 이미 발생한 중대한 보안 유출사건에 대해서 어디까지나 보안 거버넌스를 재검토해 보라는 요구사항"이라며 "한일 양 정부 간에 초기 단계부터 잘 소통하며 협력해 왔고 앞으로도 긴밀히 소통해 나갈 예정"이라고 답했다.
또 양 정상은 회담에서 한일간 '수소협력대화', '자원협력대화'를 신설해 공급망 안정화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했다.
대통령실은 "양 정상은 에너지, 경제안보, 중소기업·스타트업, ICT·첨단기술 등 분야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계속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양 정상은 먼저 '한일 수소협력대화'를 내달 중순 새로 출범시키기로 했다. 회담에 배석한 김태효 국가안보실 제1차장은 "한일간 글로벌 수소공급망 확대를 꾀하고 수소 관련 표준, 수소에너지 규격, 정책 분야에서 협력을 모색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양 정상은 또 '한일 자원협력대화'도 같은 시기 신설하기로 합의했다. 자원협력대화는 한국의 산업통상자원부와 일본의 경제산업성간 협의체로, 핵심광물 공급망 위기시 양국 협력을 강화하고 공급망을 안정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윤 대통령은 양국 청년층 교류 확대를 언급하면서 일본 기업계가 '한일·일한 미래파트너십기금'에 2억엔의 자금을 추가 출자한 것을 평가했다.
미래파트너십기금은 한국 정부가 지난해 3월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해법을 발표한 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현 한경협)와 일본경제단체연합회(게이단렌)이 각각 10억원과 1억엔을 출연해 만든 재단법인이다.
이밖에도 양 정상은 중소벤처기업부와 일본 경산성이 마주앉는 중소벤처 정책대화를 활성화해나가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과 일본 총무대신이 참여하는 한일 ICT정책포럼 역시 양자, 우주, 바이오 등 첨단기술 분야로 외연을 넓히기로 했다.
양 정상은 국교 정상화 60주년인 2025년을 앞두고 양국 관계를 한 단계 끌어올릴 수 있도록 외교당국간 소통 하에 다양한 사업을 준비하기로 했다.
CWN 주진 기자
jj72@cwn.kr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