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희영 구청장 "사전 검토·대책 마련하고 최선 다해 순항"
![]() |
▲ (왼쪽부터) 이미재 용산구의원, 박희영 용산구청장. 사진=용산구의회 영상회의록 갈무리 |
[CWN 정수희 기자] 한남뉴타운 재개발 사업에 따라 원주민들이 이주하면서 생긴 문제점을 두고 설왕설래하는 일이 최근 용산구의회에서 발생했다.
이미재 운영위원장이 지난 18일 제289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한남재정비촉진지구 관련 이주에 따른 각종 도시문제 관리 방안 수립과 대책에 대한 구정 질문에 나서면서다.
이 위원장은 △무단투기 등 쓰레기 처리 문제 △건축물 붕괴 등 안전사고 우려 △슬럼화로 인한 우범지대화 우려 △대규모 이주로 인한 전세사기 우려 등을 제기했다.
그는 "지난달 말 기준 한남3구역 총 이주대상 8756세대 중 41.87%인 3591세대가 이주를 완료했다"며 "지난해 10월 30일부터 이주가 시작돼 최종 이주 절차에 약 2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벌써 많은 문제점들이 나타났다"고 했다.
이어 "지난 한 달간 한남3구역 내 700여곳을 점검한 결과 쓰레기 무단투기 34건이 적발돼 이 중 10건에 대해 과태료가 부과됐다"며 "집행부에서는 다음 달 15일까지 구역 내 쓰레기 무단투기 집중 단속을 한다는데 다년간에 걸친 이주에는 쓰레기뿐 아니라 건축폐기물 처리 등 적절한 장기적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리고는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을 근거로 △임시거주시설을 포함한 주민이주대책 △세입자의 주거 및 이주 대책 △정비구역 내 가로등 설치 △CCTV 설치 등 범죄예방 대책 △정비사업의 시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처리계획 △순찰강화 △순찰초소의 설치 등 범죄 예방을 위해 필요한 시설의 설치 및 관리 △화재예방 순찰 강화 등을 거론했다.
그러면서 "고질적인 재개발 지역의 문제들이 용산에서는 반복되지 않도록 집행부의 세심한 배려를 요청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이튿날인 19일 박희영 용산구청장이 답변에 나서 "우려와 달리 관리를 잘하고 있다"며 이 위원장 질문의 의도를 되묻고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하는 데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발언해 이목을 끌었다.
박 구청장은 "이미재 의원이 질문한 한남재정비촉진지구 이주 관련 대책은 지난해 10월 제286회 임시회에서 김형원 의원이 질문했고 다방면으로 대책을 수립해 대응하고 있다고 충분히 답변했던 사항이기도 하다"며 "이미 다른 의원이 다룬 내용과 동일한 이유가 대상 사업이 제대로 추진되지 않거나 미흡한 점이 있어서인지 진행상황을 파악해 보시고 질의의 목적이 명확하게 드러나도록 해주길 바란다"고 했다.
이에 더해 "한남3구역 이주는 순조롭게 진행 중이며 우려와 달리 건축물 붕괴 같은 안전사고는 물론 대규모 이주로 인한 전세사기 등의 문제는 현재까지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사전 사례 검토와 대응 방안 마련은 물론 조합과의 협력체계 구축 등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거듭 강조하며 현재 추진하고 있는 대책들에 관해 설명했다.
또한 "지적한 내용들에 대한 일차적 책임은 용산구가 아니라 사업시행자인 조합에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구는 이주민 편의와 구민 안전을 위해 관리 대책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피력하는 한편 의원들의 협조를 당부하기도 했다.
그러자 이미재 위원장은 보충 질문을 통해 중복 질문이 아님을 밝히고 "의원의 구정 질문에 대해 평가하는 듯한 발언은 매우 부적절하다"며 "원론적인 답변이 아니라 구체적인 대안과 책임 있는 태도를 바란다"고 주문했다.
박희영 구청장도 재차 답변에 나서 앞서 언급한 내용들을 열거하며 목소리를 높여 공방이 이어지는 듯했으나 "의원 한 분 한 분의 의견을 모두 존중한다"는 말과 함께 이해를 구해 회의는 원만히 마무리됐다.
CWN 정수희 기자
jsh@cwn.kr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