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박용준 편집국장 |
삼성전자에는 사무직노동조합(1노조), 구미네트워크노동조합(2노조), 동행노동조합(3노조), 전국삼성전자노조(4노조), DX노동조합(5노조) 등 총 5개의 노조가 있다. 이 중 삼성전자 전체 직원 12만5000여명 중 3만4000여명의 조합원 가지고 있는 4노조인 전국삼성전자노조(전삼노)가 지난해 8월 1년간 ‘교섭 대표 노조’ 지위를 확보해 사측과 임금인상 협상을 진행해 왔다.
전삼노는 오는 8월 4일까지 대표 노조 지위를 보장받고 있다. 노동조합법에 따라 전삼노가 1년 동안 단체협약을 체결하지 못하면 다른 노조가 교섭 대표 노조 지위를 요구할 수 있게 된다. 그렇게 된다면 오는 8월 5일 삼성전자의 5개 노조 중에서 다른 노조가 사측에 교섭을 요구하면 새로운 교섭 절차가 진행된다.
전삼노는 법에 따른 교섭 대표 노조 지위가 막바지에 이른 최근에 들어 파업의 목소리를 높여가고 있지만, 삼성전자 직원들로부터 제대로 된 호응을 얻지 못하고 있다. 심지어는 다른 노조로부터 비난의 목소리가 나오는 등, ‘노노갈등’이 심화되고 있는 형국이다.
게다가 전삼노의 파업에 동참하는 조합원 수도 점차 줄어들고 있다. 지난 26일 사내 집회에서는 100여명의 조합원만이 집회에 참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전삼노의 파업이 조합원들로부터 호응을 받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강성노조에 대한 조합원들의 거부감과 직원들끼리 서로 갈라치기 되는 현 상황에 대한 내부 비판 여론 때문이다.
삼성전자의 3노조인 ‘동행노조’는 사내 직원들에게 “총파업을 통한 협상이 회사와의 첨예한 대립으로 더 이상 합리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없는 길로 들어서고 있다”면서 “지금은 잘 보이지 않는 강성노조의 힘은 앞으로 우리의 발목을 잡고 실망만 안겨줄 것”이라며 전삼노의 강경 투쟁방식을 정면으로 비판하고 나섰다.
이러한 ‘노노갈등’과 강성노조에 대한 조합원들의 회의적인 시각은 전삼노의 파업투쟁 과정에서 붉어져 나온 것으로 알려진다.
그동안 얼어붙어 있던 글로벌 반도체 시장이 최근 엔비디아발 반도체 훈풍이 불기 시작한 시점에 삼성전자는 최대의 관문인 고대역폭 메모리(HBM) 시장 진출을 위해 전력투구하고 있다.
하지만 전삼노는 글로벌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삼성전자 동료 직원들의 모습을 모르쇄(?)로 일관하며 ‘생산차질’을 파업 목적으로 정하고 핵심사업장에서 쟁의활동을 벌여왔다. 그리고는 임금인상, 노조창립휴가 1일 보장, 성과급 제도 개선, 파업에 따른 경제적 손실 보상 등을 요구하고 있다.
전삼노 조합원 3만4000여명 중 지난 22일 파업 참여 조합원이 1200여명에 그친 것은 물론,지금은 쟁의 참여 인원이 대폭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삼노의 노동쟁의 방식이 조합원 수만 늘리고 세를 불리려는 목적으로 강성 노선을 택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내부 비난에 직면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지금 전삼노의 파업은 삼성 내부 직원들과 조합원들로부터도 명분과 지지를 상실해 가고 있으며, 다른 노조의 강한 비판으로 인해 교섭 대표 노조 지위마저 흔들리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삼성전자가 그동안 노조가 없는 상태에서 직원들에게 국내 최고의 대우를 해왔다는 것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리고 경쟁력 강화를 통해 명실상부 글로벌 기업으로 우뚝 섰다. 하지만, 삼성전자는 AI반도체 시대에 들어서면서 경쟁사들보다 뒤늦게 HBM 개발에 나서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서 위기감마저 감돌고 있는 상태이다.
이 같은 위급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전삼노는 삼성전자가 핵심사업으로 정하고 글로벌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주요 핵심 분야의 ‘생산차질’을 쟁의 목적으로 삼았다는 것에서 내부 직원들과 조합원들의 비난은 물론, 국민들로부터도 외면을 받고 있는 것이다.
현대자동차 노조의 경우 높은 임금 속에서도 잦은 파업으로 인해 ‘귀족 노조’라는 비난을 받아 왔지만, 최근에 들어서는 ‘무쟁의’ 상태로 노사간에 원만한 협상과 합의를 만들어 내고, 현대자동차의 시대적 경쟁력 강화와 변화에 동참하고 있다.
이처럼 전삼노를 비롯한 삼성전자 노조도 시대적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고 회사의 발전에 함께 동참하면서, 조합 구성원들과 직원들을 비롯해 사측도 공감할 수 있는 주장을 통해 노동쟁의의 목적을 달성해야 할 것이다.
CWN 박용준 편집국장
sasori0624@cwn.kr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