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산업1부 기자 김정후 |
산업부에 따르면 지난해 석화 수출액은 전년 대비 15.9% 감소했다. 나프타분해시설(NCC) 가동율도 전년 대비 7.1%p 줄었다.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산업부는 관세면제와 대형프로젝트 준공 지원 등을 협의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핵심원료인 나프타의 관세면제를 추가로 연장하는 방안을 세제당국과 협의한다. 또 석화 대형프로젝트가 적기에 준공될 수 있도록 투자지원 전담반과 지원할 예정이다.
다만 일각에서는 안일한 대처라는 지적이 나온다. 석화 위기의 가장 큰 요인은 중국이다. 중국은 정부 주도로 기초화학소재 자급화를 선언하면서 범용 석화제품 최대 수입국에서 수출국으로 변모했다. 다른 업계도 그렇듯 현실적으로 중국의 저가 공세를 이기기 어렵다는 점에서 나프타 관세 면제가 실효가 있을지 의문이 든다.
이미 석화 기업들은 고부가가치 제품을 중심으로 포트폴리오 재편에 나섰다. LG화학의 경우 이차전지·친환경·신약을 3대 신성장동력으로 삼고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타 기업 대비 기초화학소재 의존도가 높았던 롯데케미칼조차 지난 정기주주총회에서 비중을 50% 수준으로 줄일 것을 공표했다.
물론 산업부는 석화업계가 기존 사업구조에서 벗어나 고부가 정밀화학과 친환경 제품으로 전환하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석화산업 경쟁력 강화방안 협의체'라는 조직을 출범시킨다고만 했을뿐 명확한 지원 방안은 내놓지 못했다.
지난달 말 석화업계는 모두 주주총회를 마쳤다. 일부는 경영권 분쟁 등으로 인한 '표 대결'에 관심을 보였지만, 대다수는 공장 매각 폐쇄 여부와 더불어 위기 돌파구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석화업계가 반등해야 하는 이유는 단순히 기업의 흥망 때문이 아니다. 석화 공장의 근로자, 기업의 소액 주주들 모두 업황에 매달리고 있기에 정부 차원의 실용적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다.
CWN 김정후 기자
kjh2715c@cwn.kr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