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은 언어와 문화장벽, 시니어는 세대갈등과 리더십 과제
![]() |
▲ 사람인 제공 |
[CWN 주진 기자] 기업 10곳 중 9곳이 저출생 등 인구구조 급변으로 구인난을 겪고 있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들 기업 10곳 중 4곳은 인력 부족에 대비해 외국인과 영시니어 인재 채용에 관심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사람인 산하 사람인 HR연구소가 기업 220개사를 대상으로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구인난과 대응 현황'을 조사한 결과, 89%가 인구구조 급변으로 지원자 부족 등 채용에 어려움을 겪는다고 밝혔다.
응답 기업의 39.5%는 외국인 채용에 대해 '관심을 두고 있다'고 답했으며, 관심을 갖는 비율은 제조·건설 분야 기업(51%)이 IT·서비스 등 비제조 분야 기업(34%)보다 17%p 높았고, 외국계기업(48%)이 국내기업(40%)보다 다소 많았다.
외국인을 채용하고자 하는 직무는 언어 장벽이 상대적으로 낮은 생산(31.3%, 복수응답), IT개발·데이터(25.2%)가 상위권이었다.
전체 응답 기업이 외국인 채용 시 우려하는 사항은 '의사소통 문제(77.6%, 복수응답)'가 가장 많은 응답을 얻었다. 이어 '문화적 차이(50.5%)', '비자 및 취업허가 문제(46.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 기업의 41.4%가 중장년 영시니어 채용에 관심이 있다고 밝혔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구인난이 심한 중소·스타트업(45%) 관심이 대기업(28%)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 국내기업(43%)이 외국계기업(32%)에 비해 시니어 인재 채용에 열린 모습이었으며, 제조·건설 기업(46%)에서 관심이 가장 많았다.
영시니어 인재를 뽑고 싶은 직무로는 △영업·판매·무역(26.7%, 복수응답) △인사·총무·경영지원(24.4%) △생산(24.4%) △경영기획·전략(17.6%) △운전·운송·배송(11.5%) △IT개발·데이터(11.5%) 등을 꼽았다.
전체 기업들은 영시니어 채용의 걸림돌로는 '직원 간 세대갈등(57.3%, 복수응답)', '어린 관리자에 대한 리더십 무시 우려(48.2%)' 등 꼽았다.
사람인 관계자는 "현실화된 인구절벽 극복을 위한 기업들의 외국인 및 중장년 영시니어 인재 채용은 확대될 전망"이라며 "우려점을 해소하고, 역량 발휘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채용 평가 및 인사관리 전략을 실행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CWN 주진 기자
jj72@cwn.kr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