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정치경제국 권이민수 기자 |
[CWN 권이민수 기자] 지난해 하반기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리스크가 터지면서 금융당국은 지난 5월 '부동산PF의 질서있는 연착륙'을 위한 본격적인 '옥석가리기'에 들어갔다. 일시적 유동성 부족을 겪는 부동산PF 사업장에는 '뉴머니'를 투입해 자금이 원활히 공급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부실 사업장에 대해선 신속한 정리를 유도하는 '투트랙 전략'을 추진 중이다.
특히 최근 230조원 규모의 부동산PF 사업장에 대한 금융권 사업성 평가가 마무리됐다. 금융사들은 지난달 13일부터 부동산PF 사업장을 4단계(양호·보통·유의·부실우려)로 세분화해 재평가한 뒤 그 결과를 금융당국에 제출했다.
금융당국은 유의 등급 사업장에 대해서는 재구조화와 함께 자율매각을 추진하고, 부실우려 사업장에 대해선 상각이나 경·공매를 통한 매각에 나설 예정이다. 또 부실우려 사업장에 대출한 금융사는 대출금 75%를 대손충당금으로 쌓아야 한다.
금융당국의 부동산PF 재구조화의 주요 타깃 중 하나는 저축은행이다. 지난해부터 수익 악화에 PF리스크까지 더해져 자본건전성에 대한 금융권 안팎의 우려가 있던 만큼 저축은행 부실 위험을 막겠다는 당국의 의도가 엿보인다.
실제로 최근 주요 저축은행들의 신용등급이 잇따라 강등되거나 전망치가 하향 조정됐다. 전년도 저축은행업계는 2014년 이후 9년 만에 5758억원 적자를 기록하기도 했다. 연체율도 빠르게 상승 중이다. 올해 1분기 저축은행 연체율은 지난해 말(6.55%)보다 2.25% 오른 8.8%를 기록했다. 아울러 일각에서는 부동산PF 구조조정으로 인한 저축은행업계의 대규모 손실을 염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NICE신용평가가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저축은행업계의 PF 추가 손실 규모는 약 2조6000억원에서 4조8000억원이다.
이에 금융당국은 연말까지 한시적으로 저축은행과 상호금융권의 투자·대출한도 규제 완화를 위한 비조치 의견서를 발급하는 등 규제를 풀어가며 저축은행의 부실 PF사업장 재구조화와 인수합병(M&A)을 유도하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금융당국과 금융권의 요란스러운 우려와 달리, 저축은행업계는 여전히 무사태평이다.
한 저축은행 업계 관계자는 "대규모 손실에 대한 우려가 기사나 자료로 쏟아지고는 있지만 근거가 없는 시나리오일 뿐 지나치게 과하다"며 선을 긋기도 했다. 그는 "M&A가 하루아침에 진행될 수 있는 게 아니기 때문에 빠른 시일 내 어떤 결과를 보긴 어려울 것"이라며 금융당국의 의도에 부정적인 입장을 전하기도 했다.
부동산PF 리스크에 대한 위기감이 지속되고 있다. 지난 9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부동산PF 리스크와 관련해) 몇몇 기관에 대해서는 우려하고 있지만, 전체적인 시스템 리스크로 번질 가능성은 많이 줄었다고 생각한다”면서도 "안심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런 상황 속에서 금융당국와 저축은행의 온도 차는 다소 불편하다. 양측의 손발이 맞지 않는다는 걱정을 쉽게 지울 수 없다. 저축은행업계 관계자는 기자에게 "금융당국과 업계가 소통 중"이라고 했다. 도대체 그 소통이 어느 정도의 소통인지는 알 수 없지만, 양측은 불편한 온도 차를 줄이기 위해서라도 더욱 적극적인 소통에 나서야 할 것으로 보인다.
CWN 권이민수 기자
minsoo@cwn.kr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