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이복현 금융감독원장(가운데) 및 관계자들이 4일 서울 영등포구 KB국민은행 신관에서 열린 '가계대출 실수요자 및 전문가 현장간담회'에 참석한 모습. 사진=김보람 기자 |
[CWN 김보람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1주택자도 상황에 따라 가계대출이 필요하다"며 "명절 전 은행장들과 만나 실수요자를 위한 지원 대책을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4일 이복현 금감원장은 서울 영등포구 KB국민은행 신관에서 '가계대출 실수요자 및 전문가 현장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날 간담회는 최근 가계대출을 잡기 위한 은행권의 전방위적 대출 셧다운에 실수요자까지 제약받을 수 있다는 우려에 따른 것이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최근 은행권도 가계대출 관리 중요성을 인식하고 긴요하지 않은 대출에 대한 심사를 강화하는 등 자율적인 위험 관리 방안을 시행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도 "갭투자 등 투기수요 대출에 대해서는 심사를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정상적인 주택 거래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형태의 대출 실수요까지 제약 받는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세심히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이 원장은 "은행권 가계대출 관리강화 조치 이전 이미 대출 상담 또는 신청이 있었거나 주택거래가 확인되는 차주의 경우 등 고객과의 신뢰 차원에서 정당한 기대를 최대한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근에는 대출 정보 유통속도가 빨라 금융사 간 대출수요가 이동하는 이른바 풍선효과 우려도 크므로 은행권뿐 아니라 보험, 중소 금융사 등 전 금융권이 합심해 관리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에 금감원은 보험·상호금융 주택담보대출 일일 모니터링 체계를 가동한다는 방침이다.
이복현 금감원은 간담회 이후 기자들과 만나 "오늘 간담회 의견을 토대로 명절 전 은행장들과 만나 실수요자들을 위한 대출 지원책을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투기 목적이 아닌 실수요 목적으로 대출을 받는 경우 등 기계적으로 대출을 막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며 "명확한 기준이 없는 상황에서 창구에서 개개인 상황을 살피기 어려우니 은행 자체적으로 기준을 마련해야 혼선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CWN 김보람 기자
qhfka7187@cwn.kr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