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코오롱글로벌 상반기 실적 분석 그래프. 사진=코오롱글로벌 |
[CWN 손현석 기자] 코오롱글로벌이 올해 상반기 건설 부문에서 2조4000억원을 신규 수주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는 전년 동 기간 대비 1조 이상 증가한 것으로 과거 5개년 반기 수주 평균인 1조6000억원과 비교해도 46% 이상 높은 수치라고 코오롱글로벌은 설명했다.
특히 공공 및 산업건설 부문에서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코오롱글로벌은 올해 상반기 공공 부문에서 9235억원을 수주해 과거 10년 평균 약 5000억원을 넘어서는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코오롱글로벌은 지난 2008년부터 약 17년간 고난이도로 꼽히는 공공 부문 기술형 입찰에 적극 참여하면서 노하우를 축적해왔다. 또한 수주 및 안전준공을 통해 기술력에 대한 외부 신뢰를 쌓아왔다. 그 결과 한국도로공사, 국가철도공단, 국토교통부 등에서 거든 수행실적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뿐 아니라 기업수요 및 산업설비 등을 포함한 산업건설(비주택) 부문에서 기업별 맞춤 프로세스, 최적의 협력사 체계 구축 등을 무기로 대한한공 신엔진정비공장, 머크 바이오시설 공사, 정읍바이오매스 발전소 공사 등 7986억원을 상반기에 신규 수주했다.
코오롱글로벌의 올해 상반기 수주 포트폴리오를 보면 공공 부문이 39%, 산업건설이 33%를 채웠다. 주택부문 비중은 과거 5개년 평균 65%로 다소 높았으나, 올해 상반기 수주에서는 28% 수준으로 낮추며 주택 의존도를 크게 줄였다.
이같은 견조한 수주 실적을 유지하는 것은 기술력이 뒷받침된 결과물이다. 코오롱글로벌은 스마트건설팀, 미래기술팀 등 조직 내 기술지원 부서와의 협업으로 국내외 특허 187건을 포함해 녹색기술, 디자인 등 총 240여개의 지식재산권을 보유 중이다.
최근에는 탈현장 공법(OSC), 3D 모델링 기반 건설정보모델링(BIM) 등에서도 두각을 나타내며 재래식 공법의 단점을 최소화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각 현장에 맞는 신기술과 공법을 적용하고 품질 및 안전성 향상, 공기 단축 등에서 효율을 극대화했다는 평가다.
CWN 손현석 기자
spinoff@cwn.kr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