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모빌리티팀 윤여찬 기자 |
[CWN 윤여찬 기자] 전기차 화재가 잇따르면서 사회적 갈등으로 확산되고 있다. 11일 현재 전기차 커뮤니티와 업계에는 한 인물이 거론되고 있다. 이 인물은 방송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전기차 화재가 과충전으로 인한 것이라고 거듭 주장하며 활동 중이다. 쉽게 말하면 100% 충전이 화재를 일으킬 수 있으니 80~90%만 충전하라는 주장이다.
실제로 여러 전문가들도 과충전이 화재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지적해 왔다. 정부 당국에서는 도서 지역을 오가는 선박에 차를 싣기 위해서는 50%만 충전하라는 제한 지침이 세워지기도 했고 최근 서울시는 지하주차장 출입시 90%만 충전해야 한다고 공식 발표한 바도 있다. 수 년전 전기차 화재가 빈번했던 현대차 코나 전기차 화재 때도 배터리는 80%까지만 충전하라고 대다수 전문가들이 권고했고 차주들도 그렇게 받아들였다.
문제는 이러한 주장을 가장 강하게 확산시키고 있는 인물이 현재 타깃이 되고 있는 한 대학 교수라는 점이다. 전기차 커뮤니티에서 실제로 대다수 차주들은 공학적으로 근거 없는 이야기라고 이 인물을 몰아 붙이고 있다.
심지어 최근 정부가 발표한 전기차 화재 종합 대책 가운데 하나인 일명 '스마트 충전기' 보급 방침이 이 인물과 관계있을 수 있다는 이야기까지 돌고 있다. 새로운 시스템의 충전기 공급 업체와 커넥션이 있을 수 있다고 지적하는 것이다. 정부가 내년부터 수 만대를 공급하겠다는 스마트 충전기란 전기차가 과충전 되지 않도록 적절한 선에서 전력 공급을 자동으로 끊어주는 장치를 말한다.
이에 일부 전기차 제조사에서는 이미 전기차 배터리는 100% 충전이 되지 않도록 여분을 두고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이 인물이 충전 방법을 떠나 전기차를 매우 부정적으로 이야기하고 있다는 데 불만을 표출하고 있다.
업계는 전기차 제조사가 민감해 하는 이유를 주행거리 측면에서 보고 있다. 배터리 충전기가 아무리 충전을 해도 배터리 용량의 80%만 채워진다면 1회 충전 주행거리에서 문제가 생긴다. 예를 들면 제조사가 완충으로 400km를 주행할 수 있다고 광고하다가 300km로 내려야 하는 것이다. 전기차에서 중요한 스펙으로 따지는 게 완충시 주행 거리인데 이러면 전기차 제조사들은 치명적인 타격을 입게 될 수 있다.
이 모든 흉흉한 소문들은 아직까지 전기차 화재의 원인이 무엇인지 정부도 제조사도 내놓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엄청난 재산 피해와 생활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데도 누구의 잘못인지 조사 중이라는 말만 되풀이 되고 있어서일 수도 있다. 과충전으로 인한 자연발화인지 배터리 셀의 불량인지, 이도 아니면 배터리 내 분리막 손상 때문인지 '아몰랑'의 자세는 전기차 공포감만 더 크게 만들 뿐이다. 난세에 영웅 난다는 말이 아니라 전쟁통에 흉흉한 소문과 갈등이 극심해 진다는 이야기가 맞아떨어지고 있는 요즘이다.
CWN 윤여찬 기자
mobility@cwn.kr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