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7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윤석열 대통령 임기 단축 로드맵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국민의힘이 7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폐기 이후 정국 수습을 위해 고심하고 있다. 앞서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대국민담화에서 "임기 문제를 포함해 앞으로의 정국 안정 방안은 우리 당에 일임하겠다. 향후 국정 운영은 우리 당과 정부가 함께 책임지고 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윤 대통령의 조기 퇴진 방법으로 책임총리제와 임기 단축 개헌 등을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대표는 윤 대통령 담화 직후 "대통령의 정상적인 직무수행 불가능한 상황이고, 조기 퇴진은 불가피하다"며 "대한민국과 국민에게 최선인 방식을 논의하고 고민할 것"이라고 했다.
한 대표 측은 윤 대통령의 대국민 사과와 계엄 선포 관련 법적·정치적 책임 수용, 임기 문제를 포함한 정국 안정 방안의 당 일임 등 발표를 한 대표의 성과로 보면서 임기 단축 개헌과 조기 대선 등을 앞장서 거론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한 대표는 한덕수 국무총리와 8일 2차 회동을 갖고 정국 안정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특히 임기단축 방안, 책임총리제, 거국내각 구성 등 구체적인 논의가 있을 전망이다. 다만 윤 대통령에 대한 탈당 요구는 사실상 철회한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이 당정협의의 주체가 되기 위해서는 윤 대통령이 탈당해서는 안된다.
한 대표와 한 총리는 7일 윤 대통령 대국민담화 직후 총리공관에서 첫 회동을 가졌다.
한 대표는 한 총리와 긴급 회동 직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앞으로 당과 정부가 긴밀하게 소통하면서 민생경제를 잘 챙기겠다는 말씀을 서로 나눴다"고 밝혔다.
CWN 주진 기자
jj72@cwn.kr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